본문 바로가기

hayee Study

메쉬 네트워크 설정 방법 (iptime 공유기 2대)

반응형
반응형

안녕하세요 hayee 입니다.

 

오늘은 프로젝트 수행 중 공유기 2개를 이용하여 메쉬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하는 부분이 있어,

메쉬 네트워크가 무엇인지 알아볼려고 합니다.

 

중간 중간 상세 내용은 프로젝트 완료 후 업데이트 하려고 합니다. 😄


1. 메쉬 네트워크란? 

메쉬 네트워크(Mesh Network)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노드(기기)가 서로 직접 통신하며, 다수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분산형 네트워크 구조입니다. 일반적인 중앙 집중형 네트워크(예: 허브나 라우터 중심 구조)와 달리, 메쉬 네트워크는 모든 노드가 중계기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습니다.

 

[요약]

→ 모든 노드가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달하고 중계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조.

 

2. 특징

자체 복구 (Self-healing) 특정 노드가 장애를 일으켜도 다른 경로로 자동 우회
자율성 (Decentralized) 중앙 통제 장치 없이도 노드들이 상호 연결 및 통신 수행
확장성 (Scalability) 노드를 추가할수록 신호 범위와 안정성이 증가
모바일 친화적 사용자가 이동해도 가까운 노드로 자동 전환 (로밍)

 

3. 구성 방식

  • Full Mesh: 모든 노드가 서로 직접 연결 (노드 수가 많을수록 복잡도 증가)
  • Partial Mesh: 일부 노드만 서로 직접 연결 (현실적으로 자주 사용)

 

4. 공유기 2대 메쉬 구성 방법

[전제 조건]

두 공유기가 같은 제조사이고, Mesh 지원 모델이어야 한다.
    예: ASUS AiMesh, TP-Link OneMesh, Netgear Orbi, Eero, ipTIME EasyMesh 등

 

4.1  설정 절차 (추후 프로젝트 완료 이후 업데이트 예정!!)

 

📍  Step 1: 메인 공유기 설정

  1. 메인 공유기를 인터넷 모뎀과 연결
  2. 라우터 모드(Router Mode) 설정
  3. SSID(와이파이 이름)과 비밀번호 설정

📍 Step 2: 서브 공유기(노드) 준비

  1. 서브 공유기(2번째 공유기) 전원을 켜되, 초기화(Reset 버튼으로 공장 초기화) 수행
  2. 메인 공유기와 같은 브랜드/시리즈의 Mesh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어야 함

📍 Step 3: Mesh 페어링

  • 브랜드별 앱 또는 웹 관리 페이지에서 "Mesh 노드 추가" 기능을 실행
  • 메인 공유기가 서브 공유기를 자동 검색 → 연결 승인
  • 연결되면 같은 SSID, 동일 네트워크로 작동하며 자동 로밍 가능

 

 

 

# 틀린 부분이 있다면 댓글 부탁드립니다. #  
# 댓글 달아주시면 늦게라도 블로그 방문하도록 할게요! 감사합니다. #

 

 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

'hayee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자료구조] 이진 검색 알고리즘 (Binary Search)  (1) 2023.11.27
[WinAPI] CreateEvent 사용법  (72) 2023.11.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