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hayee Study

[자료구조] 이진 검색 알고리즘 (Binary Search)

반응형

 

안녕하세요 hayee 입니다.

 

이진 검색이란 정렬되어 있는 데이터들 중에 특정한 데이터 A 의 위치를 찾아주는 알고리즘을 의미합니다.

다음 예로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데이터 중 데이터 20의 위치를 찾는 과정을 이해하기 쉽게 그림으로 나타내었습니다. 


[이진 검색 알고리즘 과정]

1. 이진 검색 알고리즘 (1)

- L: Low 인덱스, H: High 인덱스, Mid: 중간 위치 데이터 ((L+H)/2)를 의미합니다.

- 데이터 A와 mid 5 의 값을 비교합니다.=> 데이터 A가 더 작으므로 경계를 다시 조정 후 이진 검색을 실행합니다. 

 

2. 이진 검색 알고리즘 (2)

- A와 mid 2 의 값을 비교합니다. => 데이터 A가 더 크므로 경계를 다시 조정 후 이진 검색을 실행합니다. 

 

3. 이진 검색 알고리즘 (3)

- A와 mid 3 의 값을 비교합니다 => 두 값이 같기 때문에 3을 출력하고 이진 검색을 종료합니다. (데이터 위치: mid 3)

 

 

 

 

# 틀린 부분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. #

# 댓글 달아주시면 늦게라도 블로그 방문하도록 할게요! 감사합니다. #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

'hayee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메쉬 네트워크 설정 방법 (iptime 공유기 2대)  (0) 2025.06.15
[WinAPI] CreateEvent 사용법  (72) 2023.11.09